본선 6조 최강크루 화개장터 찐친이 뭉친 팀이 우승

2024. 6. 15. 18:30정보 공유/장학퀴즈

728x90
반응형

오늘은 장학퀴즈 본선 62라운드 문제를 시작하겠습니다.

 

2라운드 진출자는

충남 북일고의 자존심! - 충남 북일고 서이준 & 황유찬

어제는 라이벌! 오늘은 동지! - 대구 국제고 권용빈 & 류현서

화개장터 찐친이 뭉쳤다! - 경북 경구고 김태경 & 전재욱

 

▣ 2라운드

문제1. 문자야구란 야구 볼카운트를 통해 영어단어를 맞히는 게임입니다. 제시된 단어의 알파벳과 위치가 같으면 스트라이크[S] 알파벳은 같지만 위치가 다르면 볼[B]입니다.

예를 들어 QUIZ라는 단어에 UNIT라고 답하면 알파벳 I가 스트라이크 U가 볼이 되어 1BIS가 됩니다. 여기서 문제 드립니다. 성규가 제시한 영어단어로 문자야구를 했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성규가 제시한 단어는 무엇일까요?

 

 

정답 : MAD

 

해설

DNA(다옥시리보핵산)

GMO(유전자변형식품)

GDP(국내총생산)

IMF(국제통화기금)

 

- DNAIMF는 겹치는 알파벳 없음 그래서 DNAIMF 중 알파벳 3개로 이루어져 있다.

- DNAGDP는 알파벳 D개가 일치하고 DNA2볼이므로 마지막 알파벳이 됩니다.

- GMOIMFM이 일치해서 첫 번째 알파벳이 M입니다.

- DNA는 스트레이크가 없으며로 A가 중간이 됩니다.

 

문제2. 다음 이미지에 해당하는 조직의 주요 활동은 평화 유지 활동, 군비 축소 활동, 국제 협력 활동입니다. 미국의 32대 대통령인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고안한 이 조직의 이름과 이미지에 그려진 식물 이름은 무엇일까요?

 

 

정답 : 올리브, UN

 

해설

UN(United Nations) : 1945년 세계평화와 안보를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

유엔(UN): 두 개의 올리브 가지가 세계지도를 감싸고 있는 모습으로 세계평화를 의미.

올리브 : 고대 그리스인들이 평화를 기원할 때 올리브 잎으로 만든 화관을 쓰면서 평화의 상징이 됨.

 

문제3.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 중 가장 먼저 발견된 이것을 참고해 각 원소들과 숫자를 매칭해주세요.

 

 

정답 : C 4, N 5, AI 3, CI 7, Li 1

 

해설

원소와 원자에 포함된 원자가 전자의 개수를 매칭하는 문제

배터리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Li)은 원자가 전자가 1

캔이나 포일에 사용되는 알루미늄(AI)은 원자가 전자가 3

각종 연에 사용되는 탄소 (C)는 원자가 전자가 4

과자 포장의 주된 성분인 질소(N)는 원자가 전자가 5

소독제로 많이 사용되는 염소(CI) 는 원자가 전자가 7

 

▣ 3라운드

문제1. 다음 제시되는 무구는 1604년 조선왕조실록의 일부입니다.

1경에 객성(客星)이 미수 11도로 들어갔는데, 북극성(北極星)에서는 19도의 위치였다. 크기는 세성(歲星)만하였고 황적색이었는데, 동요하였다. (선조 37년 윤921)”

 

반응형

 

기록자가 관측한 떠돌이별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이것의 각 글자 횟수를 각각 한 번만 이용해 숫자 3,600이 나오는 수식을 만들어 주세요.

 

정답 : 초신성, 5!×5!×÷4

 

문제2. 다음은 중세 국어 수업이 끝난 뒤 학생들이 나눈 대화입니다. 대화 중 잘못된 내용을 모두 찾고, 그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학생1 : 세종대왕님은 어떻게 발음기관을 본떠서 자음 기본자를 만드실 생각을 하셨을까?

학생2 : 그러니까. 정말 대단하신 것 같아. 기본자 외에도 기획자, 이체자. 합용자까지 모두 훈민정음에 창제원리가 밝혀져 있다면서?

학생3 : 맞아. 나는 현대에는 쓰이지 않는 홥용 원리인 각자 병서법이 인상적이었고 지금의 된소리는 어두 자음군에 속하지 않는다는 점도 흥미로웠어!

학생4 : 나는 현대국어처럼 주어의 마지막 음절이 어떤 모음으로 끝나느냐에 따라 주격조사가 달라진다는 점이 신기했어!

 

 

정답

훈민정음 자음에는 합용자를 제외한 총 17자의 창제 원리 수록

각자 병서법은 같은 자음을 나란히 스는 표기 방식으로 현대국어에도 쓰임

현대국어에서 주격조사는 주어의 마지막 음절이 자음, 모음이냐에 따라 ’, ‘로 달라지는 형태

중세국어는 자음으로 끝날 경우 현대 국어와 동일하지만 모음으로 끝날 경우, 어떤 모음이냐에 따라 주격조사가 반모음 “, '생략'으로 달라집니다.

 

문제3. 2023년 국내 한 연구진이 체온 수준의 열에너지만으로 2차 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화제가 됐습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체온이나 낮과 밤의 온도 차이로도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2차 전지에 사용되는 소재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진동의 이것을 크게 하는 원리라고 합니다. 향수의 향기가 주변으로 퍼지고, 물에 잉크를 떨어트리면 잉크가 확산되는 것 역시, 이것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죠. 자연 물질이 변형되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는 것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엔트로피

 

 

장학퀴즈 본선 조 우승자는 경구고 김태경 & 전재욱 축하드립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