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7. 30. 14:49ㆍ정보 공유/장학퀴즈
오늘은 장학퀴즈 최강크루 2조 준결승전을 가지고 왔습니다.
본선 2조 우승킴 아따 징허게 기다렸구먼!
광주서석고 - 박현호 & 최경준
3학년의 마지막 자존심!
경북 경구고 - 김태경 & 전재욱
실력이 전략이다!
충북 청원고 - 고영원 & 배선우
본선 8조 우승팀 어리다고 얕보지 마라!
서울 한영외고 - 이예빈 & 함지훈
무려 8 대 1 ! 패자부활전에서 살아 돌아왔다!
용인외대부고 - 한예하 & 이재원
▣ 1라운드 문제
[문제1] 2023년, 한 고등학교 항공우주동아리 학생들이 풍선에 카메라를 설치해 성층권으로 올리는 실험에 성공했습니다. 하늘로 올라간 풍선은 약 1시간 40분 동안 비행한 후 낮아진 기압의 영향을 받고 터져서 지상으로 떨어졌습니다. 만약, 공기저항과 높이에 따른 중력 변화가 모두 없다고 가정한다면 풍선이 지표면으로 떨어지면서 이것을 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어떤 물체를 놓았을 때 물체가 땅을 향해 가속하며 떨어지는 현상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자유낙하
[해설]
김해분성고 항공우주동아리가 쏘아올린 우주 풍선
33km 높이 성층권에서 지구를 촬영한 후 무사히 회수가지 성공
중력 외에도 높이, 공기저항, 바람까지 계산해 낙하지점을 정확히 예측
[문제2] <근연도> 혈연관계의 두 사람이 1개의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
<근연도 계산법>
- 나를 기준으로 세대를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가면 1/2을 곱한다.
- 나와 혈연자 사이에 공동 조상이 있을 경우 2를 곱한다.
Q. 나를 기준으로 어머니와 아내, 딸과 조카의 근연도를 모두 합한 값은 얼마일까요?
[정답] 5/4
[해설]
[문제3] 지금 들으신 곡은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입니다. 모차르트가 태어난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는 아름다운 풍광과 음악, 그리고 이것 광산으로 유명한데요. 도시의 이름도 이것을 뜻하는 독일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영국은 인도를 통치할 당시, 이것에 대한 불공정한 과세 정책을 시행했는데요. 이를 저항하며 일어난 마하트마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의 상징이기도 한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소금
[해설] 소금 행진
영국이 인도인들의 소금 생산과 판매를 통제하고 소금에 과도한 세금을 매긴 것이 발단.
간디가 직접 소금을 만들자며 전통 염전이 있는 해안으로 약 320km를 행진하며 저항.
인도 독립운동 정신의 근간
[문제4] 이 사진은 서울에 위치한 절, 봉은사의 판전에 걸린 현판의 모습입니다. 현판 속 글시는 조선 후기 문인인 김정희가 쓴 것으로 그가 완성한 이 글씨체는 당시 서체와는 달리 개성이 강해 큰 인기를 구가했다고 하는데요. 김정희의 말년작으로도 유명한 이 현판이 걸려 있는 봉은사의 판전에는 이 경전의 내용을 담은 불교 경판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크고 넓은 이치를 깨달은 부처의 연꽃같이 장엄한 경’이라는 뜻의 이 경전과 김정희가 완성한 이 글씨체는 각각 무엇일까요?
[정답] 추사체. 화엄경
[해설] 화엄경
우리나라 화엄 사상의 근본이 되는 불교 경전으로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뒤, 처음 설법한 내용이 담겨있음.
봉은사 판전의 현판은 추사 김정희가 별세 사흘전에 쓴 말년작.
[문제5] 이 사진은 술을 많이 마시는 것을 경계하기 위하여 특별하게 만든 잔으로 ‘계영배’라고 부릅니다. 술이 어느 정도까지 차면 술잔 옆 구멍으로 술이 흘러 내려가도록 만든 잔인데요. 그렇다면, 이 계영배를 만들 때 활용된 과학 원리는 무엇일까요?
[정답] 사이펀
[해설] 계영배
‘넘침을 경계하는 잔’이라는 뜻으로 술이 관 속으로 빨려가도록 제작
사이펀의 원리
기압 차와 중력을 이용해 액체를 위로 끌어올려 더 낮은 곳으로 이동
오늘은 장학퀴즈 준결승 두 번째 대결 1라운드문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2라운드 문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정보 공유 > 장학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학퀴즈 최강크루 결승전 전반전 (0) | 2024.08.04 |
---|---|
장학퀴즈 준결승전 두 번째 대결 패자부활전에서 살아온팀과 3학년의 자존심 (0) | 2024.08.01 |
장학퀴즈 1조 준결승전 결승에 진출할 두 팀은 누구 (0) | 2024.07.25 |
장학퀴즈 최강크루 준결승전 첫번째 대결 (0) | 2024.07.21 |
장학퀴즈 240707 국제대회를 휩쓴 실력자 우승팀 (0) | 202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