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4. 12:50ㆍ정보 공유/장학퀴즈
오늘은 장학퀴즈 최강크루 파이널 전반전을 가지고 왔습니다.
최후의 네 팀이 펼칠 대망의 결승전
뒷심으로 우승까지 직진!
역전의 여왕 - 경기 세마고 이채린 & 장선영
K-고3의 무서움을 부여주마!
경북 경구고 - 김태경 & 전재욱
브레인 퀴즈의 강자! 괴짜 수학 천재!
경산과고 - 지현욱 & 김윤현
본선 1R 탈락에서 결승까지! 불멸의 남자들!
용인외대부고 - 한예하 & 이재원
▣ 전반전
[문제1] 조선시대 상류층은 탄탄한 경제적 기반 위에서 문학적 소양을 쌓은 후 관직에 진출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대부적 관습에서 벗어나 반체제적인 삶을 사는 사람들이 있었는데요. 이들은 현실에 대한 강한 비판의식을 가지며 문학작품을 통해 자신의 고뇌를 토로했습니다. 대표적 인물이 소설 <금오신화>의 작가, 김시습인데요. 김시습과 같이 스스로 세상을 거부하며 현실에 얽매이지 않고 속세를 초월하여 지내는 사람을 일컫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방외인
※ 방외인
대표적인 방외인인 김시습은 단종을 폐위한 세조에 환멸을 느끼고 산으로 들어가 우리나라 최초 한문 소설이자 방외인 문학의 시초인 <금오신화>를 집필했다.
<금오신화> 속 주인공은 현실의 제도나 인습을 비판하며 인간의 운명에 맞서 강력히 대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문제2] 이 작품은 네덜란드의 판화가, 에셔가 만든 테셀레이션입니다. 테셀레이션은 일정한 형태의 도형들로 평면을 빈틈없이 채우는 기법을 뜻하는데요. 이 중 정칙 테셀레이션은 하나의 정다각형으로만 이루어진 테셀레이션입니다. 정칙 테셀레이션에 사용할 수 있는 도형과 여기에 활용되는 수학 원리를 모두 써주세요.
[정답]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평행이동, 대칭이동, 회전이동
※ 해설
정칙 테셀레이션을 만들려면 한 꼭지점에 모인 각의 합이 360℃가 되어야 함.
[문제3] 광산에서 얻은 철은 철 이외엔 불순물이 포함된 철광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철광석에서 철을 분리하는 공정을 제련이라고 하는데요. 철광석을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후 이것을 넣어 금속을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이것은 용광로 안에서 이 기체로 바뀌고, 이 기체는 철광석의 산화철을 순수한 철로 환원시켜줍니다. 연료의 일종인 이것과 이 기체는 무엇일까요?
[정답] 코크스, CO(일산화탄소)
[문제4] 사회보장제도는 국민의 복지를 보장하기 위해 시행되는 정책인데요. 혜택이 많을수록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과도한 세금 지출을 피할 수 없습니다. 일직이 사회보장 제도를 확립했던 영국은 제2차 세계대전과 세계 대공황 등을 거치면서 지나친 복지가 빈곤층의 자활 의지를 떨어뜨린다는 여론이 점차 확산되었는데요. 이에, 노동 활동 참ㅁ여를 전제로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보장을 돕는 이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 정책의 이름과 정책의 근간이 된 실용주의 이념은 각각 무엇일까요?
[정답] 생산적 복지, 제3의 길
※ 1990년대 영국은 제3의 길을 제시하며 생산적 복지 정책을 펼쳤다. 일하는 사람들에게만 복지 혜택을 지원함으로써 기존 복지 제도의 한계였던 근로 의욕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
[문제5] 틀린 부분을 모두 찾아 올바르게 고쳐주세요.
<최초의 게르만 통일 국가 등장>
4세기 말, 노르만족의 압박을 받은 게르만족의 한 일파는 로마로 이동했다.
갈리아 지방을 정복한 후, 서고트 왕국을 세우고, 크리스트교를 수용해 로마 교회의 지지를 얻었다.
이후. 카롤루스 대제는 로마 교황에게 동로마 황제의 관을 받았다.
[정답]
노르만족 → 훈족
서고트 → 프랑크
동로마 → 서로마
장학퀴즈 최강크루 결승전의 후반전은 다음번 포스팅에서 계속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공유 > 장학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종라운드 파이널 매치 장학퀴즈 결승전 (0) | 2024.08.06 |
---|---|
장학퀴즈 결승전 후반전 승자는 패자부활전에서 살아온 최강크루 (0) | 2024.08.05 |
장학퀴즈 준결승전 두 번째 대결 패자부활전에서 살아온팀과 3학년의 자존심 (0) | 2024.08.01 |
함께하는 지식 시너지 장학퀴즈 최강크루 2조 준결승전 (1) | 2024.07.30 |
장학퀴즈 1조 준결승전 결승에 진출할 두 팀은 누구 (0) | 202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