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달토끼입니다.
오늘은 천자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자문 801번째부터 1000번째까지 알아보겠습니다.
201. 친척고구 (親戚故舊) : 친은 동성지친이고 척은 이성지친이요, 고구는 오랜 친구를 말한다.
親
|
戚
|
故
|
舊
|
친할 친
|
친척 척
|
연고 고
|
옛 구
|
202. 노소이량 (老少異糧) : 늙은이와 젊은이의 식사가 다르다.
老
|
少
|
異
|
糧
|
늙을 노
|
젊을 소
|
다를 이
|
양식 량
|
203. 첩어적방 (妾御績紡) : 남자는 밖에서 일하고, 여자는 안에서 길쌈을 한다.
妾
|
御
|
績
|
紡
|
첩 첩
|
거느릴 어
|
길쌈할 적
|
길쌈 방
|
204. 시건유방 (侍巾帷房) : 유방에서 모시고 수건을 받드니 처첩이 하는 일이다.
侍
|
巾
|
帷
|
房
|
모실 시
|
수건 건
|
휘장 유
|
방 방
|
205. 구선손반 (具膳飧飯) : 반찬을 갖추고 밥을 먹는다.
具
|
膳
|
飧
|
飯
|
갖출 구
|
선물 선
|
저녁밥 손
|
밥 반
|
206. 적구충장 (適口充腸) : 훌륭한 음식이 아니라도 입에 맞으면 배를 채운다.
適
|
口
|
充
|
腸
|
맞을 적
|
입 구
|
채울 충
|
창자 장
|
207. 포어팽재 (飽飫烹宰) : 배 부를 때에는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그 맛을 모른다.
飽
|
飫
|
烹
|
宰
|
배부를 포
|
물릴 어
|
삶을 팽
|
재상 재
|
208. 기염조강 (饑厭糟糠) : 반대로 배가 고플 때에는 겨와 재강도 맛있게 되는 것이다.
饑
|
厭
|
糟
|
糠
|
주릴 기
|
싫어할 염
|
지게미 조
|
겨 강
|
209. 환선원결 (紈扇圓潔) : 흰 비단으로 만든 부채는 둥글고 깨끗하다.
紈
|
扇
|
圓
|
潔
|
흰비단 환
|
부채 선
|
둥글 원
|
깨끗할 결
|
210. 은촉위황 (銀燭煒煌) : 은촛대의 촛불은 빛나서 휘황찬란하다.
銀
|
燭
|
煒
|
煌
|
은 은
|
촛불 촉
|
빛날 위
|
빛날 황
|
211. 주면석매 (晝眠夕寐) : 낮에 낮잠 자고 밤에 일찍 자니 한가한 사람의 일이다.
212. 람순상상 (藍筍象牀) : 푸른 대순과 코끼리 상이니, 즉 한가한 사람의 침대이다.
藍
|
筍
|
象
|
牀
|
쪽 람
|
죽순 순
|
코끼리 상
|
평상 상
|
213. 현가주연 (絃歌酒讌) : 거문고를 타며 술과 노래로 잔치한다.
絃
|
歌
|
酒
|
讌
|
악기 줄 현
|
노래 가
|
술 주
|
이야기할 연
|
214. 접배거상 (接杯擧觴) : 작고 큰 술잔을 서로 주고받으며 즐기는 모습이다.
215. 교수돈족 (矯手頓足) : 손을 들고 발을 두드리며 춤을 춘다.
矯
|
手
|
頓
|
足
|
바로잡을 교
|
손 수
|
조아릴 돈
|
발 족
|
216. 열예차강 (悅豫且康) : 이상과 같이 마음 편히 즐기고 살면 단란한 가정이다.
悅
|
豫
|
且
|
康
|
기쁠 열
|
미리 예
|
또 차
|
편안 강
|
217. 적후사속 (嫡後嗣續) : 적자된 자, 즉 장남은 뒤를 계승하여 대를 이룬다.
嫡
|
後
|
嗣
|
續
|
정실 적
|
뒤 후
|
이을 사
|
이을 속
|
218. 제사증상 (祭祀蒸嘗) : 제사하되 겨울 제사는 증이라 하고 가을 제사는 상이라 한다.
祭
|
祀
|
蒸
|
嘗
|
제사 제
|
제사 사
|
찔 증
|
맛볼 상
|
219. 계상재배 (稽顙再拜) : 이마를 조아려 선조에게 두 번 절한다.
稽
|
顙
|
再
|
拜
|
상고할 계
|
이마 상
|
두 재
|
절 배
|
220. 송구공황 (悚懼恐惶) : 송구하고 공황하니 엄중, 공경함이 지극하다.
悚
|
懼
|
恐
|
惶
|
두려울 송
|
두려워할 구
|
두려울 공
|
두려워할 황
|
221. 전첩간요 (牋牒簡要) : 글과 편지는 간략함을 요한다.
牋
|
牒
|
簡
|
要
|
종이 전
|
편지 첩
|
대쪽 간
|
요긴할 요
|
222. 고답심상 (顧答審詳) : 편지의 회답도 자세히 살펴 써야 한다.
顧
|
答
|
審
|
詳
|
돌아볼 고
|
대답 답
|
살필 심
|
자세할 상
|
223. 해구상욕 (骸垢想浴) : 몸에 때가 끼면 목욕하기를 생각한다.
骸
|
垢
|
想
|
浴
|
뼈 해
|
때 구
|
생각 상
|
목욕할 욕
|
224. 집열원량 (執熱願凉) : 더우면 서늘하기를 원한다.
執
|
熱
|
願
|
凉
|
잡을 집
|
더울 열
|
원할 원
|
서늘할 량
|
225. 여라독특 (驢騾犢特) : 나귀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을 말한다.
驢
|
騾
|
犢
|
特
|
나귀 여
|
노새 라
|
송아지 독
|
특별할 특
|
226. 해약초양 (駭躍超驤) :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의 모습을 말한다.
駭
|
躍
|
超
|
驤
|
놀랄 해
|
뛸 약
|
뛰어넘을 초
|
달릴 양
|
227. 주참적도 (誅斬賊盜) : 역적과 도적을 베어 물리친다.
誅
|
斬
|
賊
|
盜
|
벨 주
|
벨 참
|
도적 적
|
훔칠 도
|
228. 포획반망 (捕獲叛亡) : 배반하고 도망하는 자를 잡아 죄를 다스린다.
捕
|
獲
|
叛
|
亡
|
잡을 포
|
얻을 획
|
배반할 반
|
망할 망
|
229. 포사요환 (布射僚丸) : 한나라 여포는 화살을 잘 쐈고, 웅의료는 탄자를 잘 던졌다.
布
|
射
|
僚
|
丸
|
베 포
|
쏠 사
|
동료 요
|
둥글 환
|
230. 혜금완소 (嵇琴阮嘯) : 위국 혜강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은 휘파람을 잘 불었다.
嵇
|
琴
|
阮
|
嘯
|
산이름 해
|
거문고 금
|
성씨 완
|
휘파람 소
|
231. 념필륜지 (恬筆倫紙) : 진국 몽염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 채륜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다.
恬
|
筆
|
倫
|
紙
|
편안할 념
|
붓 필
|
인륜 륜
|
종이 지
|
232. 균교임조 (鈞巧任釣) : 위국 마균은 지남거를 만들고, 전국시대 임공자는 낚시를 만들었다.
鈞
|
巧
|
任
|
釣
|
서른 근 균
|
공교할 교
|
맡길 임
|
낚시 조
|
233. 석분리속 (釋紛利俗) : 이상 팔인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풍속에 이롭게 한다.
釋
|
紛
|
利
|
俗
|
풀 석
|
어지러울 분
|
이로울 리
|
풍속 속
|
234. 병개가묘 (竝皆佳妙) : 모두가 아름다우며 묘한 재주이다.
竝
|
皆
|
佳
|
妙
|
나란히 병
|
다 개
|
아름다울 가
|
묘할 묘
|
235. 모시숙자 (毛施淑姿) : 모는 오의 모타라는 여자이고, 시는 월의 서시라는 여자인데, 모두 절세미인이었다.
毛
|
施
|
淑
|
姿
|
털 모
|
베풀 시
|
맑을 숙
|
모양 자
|
236. 공빈연소 (工嚬姸笑) : 이 두 미인의 웃는 모습이 매우 곱고 아름답다.
工
|
嚬
|
姸
|
笑
|
장인 공
|
찡그릴 빈
|
고울 연
|
웃음 소
|
237. 년시매최 (年矢每催) : 화살같이 매양 재촉하다.
年
|
矢
|
每
|
催
|
해 년
|
화살 시
|
매양 매
|
재촉할 최
|
238. 희휘랑요 (曦暉朗耀) : 태양빛과 달빛은 온 세상을 비추어 만물에 혜택을 주고 있다.
曦
|
暉
|
朗
|
耀
|
햇빛 희
|
빛날 휘
|
밝을 랑
|
빛날 요
|
239. 선기현알 (璇璣懸斡) : 선기는 천기를 보는 기구이고, 그 기구가 높이 걸려 도는 것을 말한다.
璇
|
璣
|
懸
|
斡
|
옥 선
|
구슬 기
|
매달 현
|
관리할 알
|
240. 회백환조 (晦魄環照) : 달이 고리와 같이 돌며 천지를 비치는 것을 말한다.
晦
|
魄
|
環
|
照
|
그믐 회
|
넋 백
|
고리 환
|
비출 조
|
241. 지신수우 (指薪修祐) : 불타는 나무와 같이 정열로 도리를 닦으면 복을 얻는다.
指
|
薪
|
修
|
祐
|
가릴킬 지
|
섶 신
|
닦을 수
|
도울 우
|
242. 영수길소 (永綏吉邵) : 그리고 영구히 편안하고 길함이 높다.
永
|
綏
|
吉
|
邵
|
길 영
|
편안할 수
|
길할 길
|
땅이름 소
|
243. 구보인령 (矩步引領) : 걸음을 바로 걷고 따라서 얼굴도 바르니 위의가 당당하다.
矩
|
步
|
引
|
領
|
모날 구
|
걸음 보
|
끌 인
|
거느릴 령
|
244. 부앙랑묘 (俯仰廊廟) : 항상 낭묘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를 숙여 예의를 지켜야 한다.
俯
|
仰
|
廊
|
廟
|
구부릴 부
|
우러를 앙
|
해랑 랑
|
사당 묘
|
245. 속대긍장 (束帶矜莊) : 의복에 주의하여 단정히 함으로써 긍지를 갖는다.
束
|
帶
|
矜
|
莊
|
묶을 속
|
띠 대
|
자랑할 긍
|
씩씩할 장
|
246. 배회첨조 (徘徊瞻眺) : 같은 장소를 배회하며 선후를 보는 모양이다.
徘
|
徊
|
瞻
|
眺
|
노닐 배
|
노닐 회
|
볼 첨
|
바라볼 조
|
247. 고루과문 (孤陋寡聞) : 하등의 식견도 재능도 없다.
孤
|
陋
|
寡
|
聞
|
외로울 고
|
좁을 루
|
적을 과
|
들을 문
|
248. 우몽등초 (愚蒙等誚) : 적고 어리석어 몽매함을 면치 못한다는 것을 말한다.
愚
|
蒙
|
等
|
誚
|
어리석을 우
|
입을 몽
|
가지런할 등
|
꾸짖을 초
|
249. 위어조자 (謂語助者) : 어조라 함은 한문의 조사, 즉 다음의 4글자이다.
謂
|
語
|
助
|
者
|
이를 위
|
말씀 어
|
도울 조
|
놈 자
|
250. 언재호야 (焉哉乎也) : 이 네 글자는 어조사이다.
焉
|
哉
|
乎
|
也
|
어찌 언
|
어조사 재
|
어조사 호
|
잇기 야
|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글 출처 : 네이버 한자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