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5. 7. 16:38ㆍ정보 공유/우리말 겨루기
오늘은 20대 청춘들의 패기 넘치는 도전인 우리말 겨루기 1001화를 가지고 왔습니다.
▣ 1단계 첫소리 문제
1. 고해림 : 최유진! 내가 너는 이기고 간다! 아자!
① ㅇㅂㅇㄴ - 5월 8일
(어버이날)
② ㅎㅊㄹ - 어린이아이를 벌주다
(회초리)
③ ㅇㅅㄱ - 폭이 좁은 호젓한 길
(오솔길)
④ ㅇㅁ - 씨방이 자라서 생기다
(열매)
⑤ ㄱㄱ - 물이 말라서 없어짐
(고갈)
※ 오솔길 : 폭이 좁은 호젓한 길.
※ 고갈(枯渴)
① 물이 말라서 없어짐.
② 어떤 일의 바탕이 되는 돈이나 물자, 소재, 인력 따위가 다하여 없어짐.
③ 느낌이나 생각 따위가 다 없어짐.
2. 최유진 : 해림아 너한텐 질 수 없다!
① ㄷㅈ - 새가 알을 낳다
(둥지)
② ㅅㅊ - 쉬면서 먹는 음식
(새참)
③ ㅈㅈㅇ - 바로 가운데
(정중앙)
④ ㅂㄱㄹ - 밥벌이를 위한 일자리
(밥그릇)
⑤ ㅈㄷㅇㅁ - 앞으로 잘될 희망이 있음
(전도유망)
※ 밥그릇
① 밥을 담는 그릇.
② 밥벌이를 위한 일자리를 속되게 이르는 말.
※ 전도유망(前途有望) : 앞으로 잘될 희망이 있음.
3. 송이레 : 할머니 할아버지 저 우리말 겨루기 나왔어요. 사랑해요 ♡
① ㅈㅈㄹ - 조린 반찬
(장조림)
② ㅅㅍ - 무성하게 우거지다
(수풀)
③ ㅍㅁ - 파괴되어 없어짐
(파멸)
④ ㄷㅅㄱㅈ - 다시 게워 내어 씹는 짓
(되새김질)
⑤ ㅎㅇㄷ - 그 후에 벌어진 경과
(후일담)
※ 파멸(破滅) : 파괴되어 없어짐.
4. 김석영 ; 꼴지를 하더라도 행복한 꼴찌가 되자! 아자!
① ㅊㅍ - 분필로 글씨를 쓰다
(칠판)
② ㄴㅈㄱ - 저온에서 보관하다
(냉장고)
③ ㅊㅊㅈ - 결혼 따위의 좋은 일
(청첩장)
④ ㄷㅂ - 위험한 일에 손을 대다
(도박)
⑤ ㅇㅎㅅㅂ - 강자끼리 서로 싸움
(용호상박)
※ 용호상박(龍虎相搏) : 용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 2단계 주제어 총 12문제
1. 비유 [순우리말 명사]
- 중간에서 양쪽의 관계를 연결하는 매개체.
(징검다리)
※ ‘연결 고리’, ‘중개 대사’, 중간 다리’, ‘연결 다리’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단어.
2. [관용구] [기본형]
- 시험에서 떨어지다.
- 직위에서 떨려 나다.
(미역국을 먹다)
3. [순우리말 동사]
- 몹시 마음이 들뜨다.
- 상대가 만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아니하여 헛걸음하다.
(바람맞다)
4. [순우리말 명사]
- 몹시 밉거나 싫어 늘 눈에 거슬리는 사람.
- 남편의 첩.
(눈엣가시)
5. [순우리말 동사]
- 액체나 가루 따위를 다른 것 위에 흩어지게 내던지듯 뿌리다.
- 욕설이나 저주 따위를마구 퍼붓다.
(끼얹다)
6. [속담]
- 탕건 쓰고 □□한다.
- 고양이□□하듯
(세수)
7. [바른 말]
[문제] 다음 중 맞춤법이 틀린 것은?
① 따사하네
② 서느랗더라
③ 있었길래
(서느랗더라 → 서늘하더라)
8. [유래] [명사]
- 요구하거나 생각한 대로 잘된 물건.
- 경기도 특정 지역에서 유기를 주문하여 만든 것처럼 잘 들어맞는다는 데서 유래.
(안성맞춤)
9. [겹낱말]
□□강정 / □□꽃 / □□토마토
(방울)
10. [음절조합]
있는 대로 죄다 [두 / 전 / 땅 / 히 / 모 / 몽 / 공]
(몽땅)
※ 모두
「명사」 : 일정한 수효나 양을 기준으로 하여 빠짐이나 넘침이 없는 전체.
「부사」 : 일정한 수효나 양을 빠짐없이 다.
11. [한자어 명사]
- 중국 양나라 해왕과 맹자의 문답에서 유래.
-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음
(오십보백보)
12. [한자어 명사]
-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탄다.
- 몹시 곤궁하여 고통스러운 지경.
(도탄)
▣ 3단계 (송이레, 김석영 도잔자)
1. [순우리말 명사]
- 재물이 계속 나오는 보물단지.
(화수분)
※ 꿀단지 : 꿀을 넣어 두는 단지.
※ 장독대 : 장독 따위를 놓아두려고 뜰 안에 좀 높직하게 만들어 놓은 곳.
2. [순우리말 명사]
- 터무니없이 자랑으로 떠벌리거나 거드럭거리며 허풍을 떠는 말.
(흰소리)
※ ‘허언증’은 표준국어대서전에 없는 단어.
※ 거드름 : 거만스러운 태도.
3. [한자어 명사]
- 눈살을 찌푸리고 얼굴을 찡그림.
- 남을 비난하거나 미워함.
(빈축)
※ 흉악(凶惡)
① 성질이나 언행이 악하고 모짊.
② 생김새가 험상궃고 무서움.
※ 힐난(詰難) : 트집을 잡아 거북할 만큼 다지고 듦.
4. [순우리말 명사]
- 비나 눈이 오는 날 잠깐 났다가 숨어 버리는 볕.
(여우볕)
※ 돋을볕 : 아침에 해가 솟아오를 때의 햇볕.
※ ‘암흑볕’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단어.
5. [속담]
- □□ 죽은 데는 안 가도 □□ 말 죽은 데는 간다.
- 속에 □□이 몇 개 들어앉았다.
(대감)
▣ 1001화 시청자 문제
[문제] ‘숨을 가쁘고 거칠게 몰아쉬는 모양’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① 헐레벌떡
② 헐래벌떡
(① 헐레벌떡)
▣ 송이레 도전자 제65대 우리말 달인 도전!
1. 달인 문제 1단계 단어 고르기
- 소풍 가면 (숨바꼭질 / 숨박꼭질) 해야지
- 남의 일에 (냅뜨다 / 내뜨다)
- 사태를 (대알고 / 데알고) 판단했다
(숨바꼭질 / 냅뜨다 / 데알고)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공유 > 우리말 겨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겨루기 1006화 굳세고 꿋꿋하게 견디어 내는 힘을 뜻하는 단어 (1) | 2024.06.12 |
---|---|
우리말겨루기 1005화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을 뜻하는 단어 (1) | 2024.06.06 |
우리말겨루기 1004화 허물이 없이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 | 2024.06.03 |
우리말겨루기 1003화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1) | 2024.05.22 |
우리말겨루기 1002화 속으로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를 은근히 바라거나 뜻 (0) | 202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