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5. 16. 19:34ㆍ정보 공유/우리말 겨루기
오늘은 우리말 겨루기 1002회 240513일 방영된 퀴즈 문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 1단계 첫소리 문제
1. 송서영 : 도전하는 인생은 아름답다
① ㅈㅂ - 가정에서 만드는 음식
(집밥)
② ㄱㅈㅈㄹ - 둘레나 끝
(가장자리)
③ ㅇㅅㄹㅈ - 큰 혼란에 빠진 곳
(아수라장)
④ ㅇㅁㅇ - 사물의 핵심
(알맹이)
⑤ ㅊㅅ - 온 정성과 힘
(최선)
※ 아수라장(阿修羅場) : 싸움이나 그 밖의 다른 일로 큰 혼란에 빠진 곳. 또는 그런 상태.
※ 알맹이 : 사물의 핵심이 되는 중요한 부분.
2. 강명환 : 어제는 일반인 오늘은 달인 까짓것 가자!
① ㅆㄸㅁ - 쌀을 씻고 난 물
(쌀뜨물)
② ㅅㅈ - 훈민정음을 창제하다
(세종)
③ ㅅㄹㅇ - 옥신각신
(실랑이)
④ ㅎㅎㅅ - 기뻐서 크게 부르짖다
(환호성)
⑤ ㄱㅉㄱㅇ - 티가 나지 않다
(감쪽같이)
※ 감쪽같이 : 꾸미거나 고친 것이 전혀 알아챌 수 없을 정도로 티가 나지 않게.
3. 김소영 : 갈고닦은 우리말 실력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① ㅂㅊㄱ - 이마로 세게 받아 치다
(박치기)
② ㅌㅌㄷㄹ - 순탄한 장래
(탄탄대로)
③ ㄱㄷㄷㄱ - 쓸데없이 덧붙은 것
(군더더기)
④ ㅇㅇㄹ - 가슴속에 쌓이다
(응어리)
⑤ ㅇㄴ - 보통과 아주 다르다
(유난)
※ 유난 : 언행이나 상태가 보통과 아주 다름.
4. 송상윤 : 오늘은 구경꾼이 아닌 주인공!
① ㄲㄲ - 과자
(까까)
② ㅅㅇㅅ - 남을 속이는 짓
(속임수)
③ ㅁㅇㅈㅅ - 멍하니 정신을 잃음
(망연자실)
④ ㄲㄲㅇ - 어떤 일을 꾸미는 속셈
(꿍꿍이)
⑤ ㅁㅁㄱㄴ - 달리 어찌할 수 없음
(막무가내)
※ 속임수(속임數) : 남을 속이는 짓. 또는 그런 술수.
▣ 2단계 12문제
1. [순우리말 명사]
- 사람을 비꼬아서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꽈배기)
2. [비유] [순우리말 명사]
- 값어치가 없어 버려도 아깝지 아니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헌신짝)
3. [가요] [순우리말 동사]
- 사람이나 일에 시달려 크게 괴로움을 겪다.
- 여러 사람과 만나거나 본의 아니게 여러 사람을 접촉하다.
(부대끼다)
※ 시달리다 : 괴로움이나 성가심을 당하다
※ 고달프다 : 몸이나 처지가 몹시 고단하다
4. [세종대왕] [순우리말 동사]
- 속으로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를 은근히 바라거나 뜻을 세우다.
(꿈꾸다)
※ 원하다(願하다) : 무엇을 바라거나 하고자 하다.
5. [겹낱말]
- 잔□□ / 게□□ / 물□□
(거품)
※ ‘게소리’, ‘게바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단어.
6. [바른 말]
[문제] 다음 보기 중 틀린 것을 골라 표준어로 맞춤법에 맞게 고쳐 써 주세요.
- 입때껏 / 마늘쫑 / 녹슬다 / 다달이
(마늘종)
※ ‘마늘쫑’은 ‘마늘종’의 잘못된 표기.
※ ‘입때껏’은 ‘지금까지. 또는 아직까지’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 여태껏
※ ‘달달이’는 ‘다달이’의 방언.
7. [한자어 명사]
- 뜻이 같은 사람끼리 서로 단결함.
- 하던 일이나 말을 수습하고 정리하여 끝맺음.
(결속)
※ 담합(談合) : 서로 의논하여 합의함.
※ 종합(綜合) : 여러 가지를 한데 모아서 합함.
※ 화합(和合) : 화목하게 어울림.
8. [한자어 명사]
- 사물의 발전이나 진행이 매우 빠름.
(장족)
9. [형용사]
- 보기에 태도나 행동이 자질구레하고 가벼운 데가 있다.
- 얄밉도록 맹랑한 데가 있다.
(잔망스럽다)
※ 척하면 착이다[관용구] : 약간의 암시만 있으면 바로 이해하다.
10. [음절조합] [2음절 한자어 명사]
- 정도에서 벗어남 (집/무/통/고/리/심/아)
(무리)
※ 무리(無理) : 도리나 이치에 맞지 않거나 정도에서 지나치게 벗어남.
※ 무아(無我) : 자기의 존재를 잊음.
11. 영상 [한자어 명사]
- 욕망을 마음껏 충족함.
- 마음껏 먹고 마심.
(만끽)
12. [순우리말 동사]
- 먹은 음식이 잘 삭지 아니하여 속이 거북하다.
- 남의 말거리가 되다.
(으르내리다)
※ 더부룩하다 : 소화가 잘 안되어 배 속이 거북하다.
▣ 3단계 문제 (강명환, 김소영 도잔자 진출)
1. [관용구]
- 일부러 구실을 대며 걱정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앓는 소리)
※ ‘생색 내며’, ‘핑계 대며’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관용구.
2. [순우리말 명사]
- 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 아주 요란스럽게 닦달하거나 족치는 일.
(잡도리)
※ 단도리는 일을 진행시키는 순서, 방도, 절차를 뜻하는 일본어에서 온 말. ‘채비’, ‘단속’으로 순화해 쓰도록 함.
3. [순우리말 형용사]
- 얼떨떨하고 난처하다
- 내심 의심스러워 꺼림하다.
(어정쩡하다)
※ 천연덕스럽다(天然덕스럽다) : 시치미를 뚝 떼어 겉으로는 아무렇지 않은 체하는 태도가 있다.
※ 떨떠름하다 : 마음이 내키지 않는 데가 있다.
※ ‘어쩡쩡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단어.
4. [한자어 명사]
- 어떤 대상과 모습이 매우 비슷한 사물이나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복사판)
5. [순우리말 형용사]
- 음식의 맛이 잘 안 나고 몹시 싱겁다.
- 특별한 검정의 동요 없이 그저 예사롭다.
(덤덤하다)
▣ 우리말 겨루기 1002회 시청자 문제
[문제] 발바닥이 ( ? )
① 시커멓다
② 새커멓다
[정답] ① 시커멓다
[해설]
① 시커멓다 : 빛깔이 몹시 거멓다.
▣ 제65대 우리말 달인 도전자 김소영
1. 1단계 단어 고르기 문제
- 흡연을 (삼가 / 삼가해) 주세요.
- (여유작작 / 여유낙낙)하게 행동하다.
- 사람이 (트미해서 / 투미해서) 답답하다.
(삼가 / 여유작작 / 투미해서)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공유 > 우리말 겨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겨루기 1006화 굳세고 꿋꿋하게 견디어 내는 힘을 뜻하는 단어 (1) | 2024.06.12 |
---|---|
우리말겨루기 1005화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을 뜻하는 단어 (1) | 2024.06.06 |
우리말겨루기 1004화 허물이 없이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 | 2024.06.03 |
우리말겨루기 1003화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1) | 2024.05.22 |
우리말겨루기 1001화 숨을 가쁘고 거칠게 몰아쉬는 모양을 뜻하는 단어 (1)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