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5. 22. 11:08ㆍ정보 공유/우리말 겨루기
오늘은 우리말 겨루기 1003화 세계인의 날 특집 퀴즈 문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오늘은 한국에서 가정을 꾸린 4명의 외국인 도전자들과 함께 합니다.
▣ 첫소리 문제
1. 키르기스스탄에서 온 카느케이 : 행복한 9월의 신부가 되겠습니다! 아자 아자!
① ㄴㅁ - 누나와 남동생
(남매)
② ㄷㅈㅊ - 첫돌
(돌잔치)
③ ㅈㅁㄴ - 소지품 따위를 넣다
(주머니)
④ ㅈㅂㄹ - 잠잘 때에 하는 짓.
(잠버릇)
※ 돌잔치 : 첫돌이 되는 날에 베푸는 잔치.
※ 잠버릇 : 잠잘 때에 하는 버릇이나 짓.
2. 몽골에서 온 아즈자르갈 : 이기든 지든 멋지게 하고 가겠습니다 아자!
① ㅅㅅ - 신선한 물고기
(생선)
② ㅊㅅ - 아이를 낳음
(출산)
③ ㄷㄹㄴ - 결혼하지 않은 시동생
(도련님)
※ 생선(生鮮) : 먹기 위해 잡은 신선한 물고기.
※ 출산(出産)
① 아이를 낳음.
② 만들어 내거나 생겨남. 또는 그 물건.
※ 도련님
① ‘도령’의 높임말.
② 결혼하지 않은 시동생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
3. 일본에서 온 사야카 : 지금까지 한국어를 가르쳐 준 분들게 보답하겠습니다! 아자!
① ㅎㅈ - 부모를 잘 섬기는 아들
(효자)
② ㅅㅋㄷㅋ - 약간 신 맛이 나면서도 단맛이 나다
(새콤달콤)
③ ㅂㅍ - 화살 따위를 막다
(방패)
④ ㅎㄷㅇ - 털빛이 흰 동물
(흰둥이)
※ 흰둥이
① 살빛이 흰 사람
② 털빛이 흰 동물을 이르는 말.
4. 베트남에서 온 윤아린 : 우리말 맛집 우리말겨루기에서 대박 내고 가겠습니다! 아자!
① ㄷㄹ - 날짜
(달력)
② ㅅㅇㅁㄴ - 남편의 어머니
(시어머니)
③ ㅇㄸ - 용해에 태어나다
(용띠)
④ ㅎㄹㅅ - 제주 중앙에 있는 산
(한라산)
⑤ ㅊㄸㄱㅎ - 아주 잘 맞다
(찰떡궁합)
※ 달력(달曆) : 1년 가운데 달, 날, 요일, 이십사절기, 행사일 따위의 사항을 날짜에 따라 적어 놓은 것.
※ 찰떡궁합(찰떡宮合) : 아주 잘 맞는 궁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2단계 총 10문제
1. [겹낱말]
- □□그물 / 돈□□ / 바퀴□□
(벌레)
2. [순우리말 감탄사]
- 어린 아기를 귀여워하며 어를 때 내는 소리.
(까꿍)
※ 새끼 : 낳은 지 얼마 안 되는 어린 짐승.
3. [받아쓰기] [순우리말 부사]
- 연방 엎치었다가 뒤치었다가 하는 모양.
(엎치락뒤치락)
4. [높임말] [순우리말 동사]
- ‘눈이 감기면서 한동안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가 되다’를 뜻하는 ‘자다’의 높임말은 무엇일까요? 기본형으로 써 주세요.
(주무시다)
5. [유래]
- 6·25 전쟁 이후 미군 부대 주위로 먹을거리, 일거리를 찾아 몰려든 한국인들
미군이 주둔하며 새로운 상권과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그리고 낯선 서양 음식이 우리 밥상에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주한 미군 주둔 지역 경기도 의정부 줄을 서서 기다릴 만큼 인기가 높은 음식
- 햄, 소시지 따위를 재료로 하여 끓인 찌개.
(부대찌개)
6. [순우리말 명사]
- 뿌리를 단위로 한 초목의 낱개.
- 그것을 세는 단위.
(포기)
7. [순우리말 명사]
- 당찬 기운이 없이 어리석은 사람.
- 나이가 많이 들어서 낳은 자식.
(늦둥이)
8. [속담]
- □□□ 굴에 가야 □□□ 새끼를 잡는다.
- □□□ 담배 피울 적
- □□□도 제 말 하면 온다.
(호랑이)
9. [합성어] [순우리말 명사]
- 세상을 살아가는 재미나 의욕.
- □□이 나다 / □□을 잃다 / □□이 없다
(살맛)
※ 희망(希望) : 어떤 일을 이루거나 하기를 바람.
※ 사랑 : 어떤 사람이나 존재를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기는 마음. 또는 그런 일.
10. [음절조합] [2음절의 한자어 명사]
- 배우고 익히다.
- 부 / 험 / 술 / 체 / 공 / 암 / 기
(공부)
※ 암기(暗記) : 외워 잊지 아니함.
▣ 3단계 문제
1. [한자어 명사]
- 나이 든 부부 사이에서 아내가 그 남편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 나이가 많아 중년이 지난 남자를 대접하여 이르는 말.
(영감)
※ 자네 : 듣는 이가 친구나 아랫사람인 경우, 그 사람을 대우하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2. [명사]
- 짚이나 갈대 따위로 지붕을 인 집.
(초가집)
3. [순우리말 명사]
- 한집안을 이루어 살아가는 일.
- 살아가는 형편이나 정도.
(살림)
4. [순우리말 형용사]
- 지은 죄로 보면 그는 벌받아 □□
- 파렴치한 짓을 하고 다니니 욕먹어 □□
- 저지른 일 따위에 비추어서 받는 벌이 마땅하거나 오히려 적다.
(싸다)
▣ 우리말 겨루기 1003회 시청자 문제
[문제]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를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① 웅큼
② 움큼
[정답] ② 움큼
▣ 우리말 명예 달인 도전 - 사야카 도전자
1. 1단계 문제
- 네 비밀을 (까발겨 / 까발려) 주마
- 식은 국을 (덥히다 / 데피다)
- (생떼 / 생때) 부리지 마
( 까발려 / 덥히다 / 생떼)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공유 > 우리말 겨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겨루기 1006화 굳세고 꿋꿋하게 견디어 내는 힘을 뜻하는 단어 (1) | 2024.06.12 |
---|---|
우리말겨루기 1005화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을 뜻하는 단어 (1) | 2024.06.06 |
우리말겨루기 1004화 허물이 없이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 | 2024.06.03 |
우리말겨루기 1002화 속으로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를 은근히 바라거나 뜻 (0) | 2024.05.16 |
우리말겨루기 1001화 숨을 가쁘고 거칠게 몰아쉬는 모양을 뜻하는 단어 (1)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