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생태계에 처음 나타나 도시를 점령한 러브버그 곤충 박사 박선재

2024. 7. 29. 18:49정보 공유/예능 리뷰

728x90
반응형

오늘은 유퀴즈 251회 대발생 곤충 연구관 박선재님편을 가지고 왔습니다.

 

전 세계를 뒤덮고 있는 곤충들의 습격

몇년 전부터 도심에 출몰한 러브버그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는 대발생 곤충 문제

대발생 곤충을 파헤치는 곤충 박살를 찾아서

 

우리 생태계에 처음 나타나 도시를 점령한 러브버그

대발생 곤충 연구관 박선재

 

동양하루살이, 대벌레, 깔다구, 러브버그까지

대발생 곤충을 연구하는 곤충 박사이자

100여 종의 신생 곤충을 채집하고 이름 붙인 곤충분류학자

한국의 파브르 곤충 박사 박선재

 

 

 ▶ 두 번째 유퀴저 : 박선재

 

▣ 러브버그 외에도 굉장히 많죠?

야구장 팅커벨 동양하루살이

작년 5월 야구장을 뒤덮은 작은 벌레. 사람 몸에도 달라붙음.

요즘 한창 문제가 된 러브버그” “붉은등우단털파리

 

 

▣ 러브버그라고 누가 지었나요?

보시면 아실 텐데 알 낳기 전까지 계속 짝짓기 상태로 있어요.

그 이유는 짝짓기 한 암컷이 알을 낳기 전에 수컷이 떠나버리면 다른 수컷이 또 암컷과 짝짓기 할 수 있기 때문에 암컷을 다른 수컷에게 뺏기지 않기 위해 계속 짝짓기 상태로 유지

 

▣ 암수의 크기가 차이가 있나요?

암컷이 수컷보다 더 커요.

앞으로 전진하고 있는 것이 암컷 수컷은 끌려가고 있어요.

수컷은 계속 거꾸로

 

▣ 수명이 어떻게 됩니까?

평균 수명이 수컷은 3~5

수컷은 짝짓기 후 죽을 때까지 암컷과 붙어 있고

암컷은 알을 낳기 위해 수컷보다 1~2일 더 살고 죽음.

성충으로 딱 일주일 살고 알 낳고 죽어요.

 

 

▣ 왜 옛날엔 안 보였을까요?

1934년 중국 장쑤성에서 러브버그가 처음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18년에 인천 수봉산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어요.

해외 무역 중 유입됐을 거로 추정되며, 간간이 몇 마리씩 발견되다가 2022년 은평구와 고양시에서 러브버그가 대발생합니다.

 

▣ 러브버그는 손으로 휘둘러도 잘 안 날아가요?

다른 파리나 모기는 툭툭 치면 날아가는데 산림에서만 살다가 도심에서 인간을 처음 보니 인간을 아직 인식 못하고 있는 게 아닐까? 라고 생각이 듭니다.

이제 밟히고 죽어봐야 인간 세상이 호락호락하지 않구나... 그렇게 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 러브버그의 천적은 없습니까?

2022년부터 갑자기 많이 발생했는지 연구하고 있는데 해외에서 새로운 생물이 유입되면 우리나라 생물들도 못 보던 놈이 왔다갔다 하니까 먹어도 되는지 판단하는 시간이 필요해요.

 

▣ 인간에게 피해를 주진 않습니까?

러브버그 유충들은 땅에 있는 낙엽을 분해하고 먹어서 쉽게 표혀하면 땅속의 지렁이와 같은 역할을 담당합니다. 러브버그 성충은 화분의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러브버그는 생태계의 익충이라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발생해서 문제가 되는 겁니다.

 

반응형

 

▣ 러브버그를 못 오게 하는 방법은?

러브버그의 생태를 관찰하다 보면 불빛에 이끌리는 습성이 있어요.

러브버그 대처법

1. 주변 조명을 최소화하기

2. 외출 시 어두운 옷 입기

- 흰 옷에 잘 달라붙는 습성도 있음. (꽃을 좋아하는 습성 때문)

 

▣ 러브버그가 자동차 배기가스를 좋아한다고?

유충 때 땅에서 낙엽을 분해한다고 했는데 낙엽이 분해될 대 나는 냄새와 자동차 배기가스 냄새와 유사하기 때문에 먹이 냄새로 오인하고 모이는 것.

(몸이 산성인 러브버그 사체에 의한 자동차 부식에 주의해야 함)

 

▣ 가면 갈수록 대발생하는 곤충이 많아지는 이유?

인천 수돗물에사 발견됐던 깔따구 (노랑털깔따구)

흔히 날파리라고 불리는 깔다구. 곤충도 단백질이니까 먹으면 다 소화됩니다.

깔따구는 생태적으로 아주 중요합니다.

깔다구의 유충은 물속에 사는데 물속에 사는 애벌레 중 50%가 깔따구 애벌레라고 보시면 됩니다. 깔따구 애벌레가 없어지면 수중 생물들이 줆어 죽게 됩니다.

 

2020년 대발생한 대벌레

대발생으로 나무를 심하게 갉아먹는 산림 해충

 

 

▣ 곤충 대발생도 지구 온난화가 영향?

보통 곤충 대발생의 여러 요인이 있는데 가장 큰 요인으로 지구 온난화

곤충은 변온 동물이라서 기온이 올라가면 더 빠르게 자라고 더 많이 번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1차적인 원인이라고 생각이 들고 지구온난화로 생태계의 밸런스가 무너지면 대발생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짐.

 

▣ 아프리카와 중동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메뚜기 떼

곡물을 초토화시키고 한번 지나가면 황무지가 될 정도로 특히 메뚜기 떼로 인해서 소말리아는 국가 비상 사태까지 선포될 정도로.

파키스탄에서는 무시무시한 메뚜기 데를 막기 위해 오리 10만 대군을 투입 이처럼 천적을 투입하는 것도 방법

 

 

▣ 미국에서는 221년 만에 ‘매미겟돈’ 1천조 마리가 제트기 소음과 맞먹는다고?

우리나라 도심에 나타나는 매미 종류는 말매미” “참매미” “쓰름매미” 3종류 위주로 60~70db (전화기 소리 정도)정도의 소음을 가지고 있어요.

근데 미국의 매미겟돈 매미는 ~110db (대포 소리 정도) 엄청난 소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표본들 중 지금은 사라진 곤충이 있나요?

소똥구리

 

 

60~70년대까지는 흔하게 발견되던 종인데 어느 순간부터 발견이 안 돼요.

소나 말을 집단 사육하면서 사료에 항생제가 많이 들어가고 소똥구리는 그 동을 먹이로 하는데 그 과정에서 항생제에 노출되면서 다 죽어버린 거죠.

2017년 환경부에서 포상금가지 걸어봤지만 한 마리도 발견되지 못했다.

 

▣ 곤충에게도 배울 점이 있을까요?

연구했던 곤충 중 넉점박이송장벌레

 

 

보통 곤충들은 알을 낳으면 떠나거나 방치하는데 넉점박이송장벌레는 알이 부화하고 새끼가 자라는 동안 새끼를 보살피는 행동을 보면서 두 아이를 키우는 아빠의 입장에서 쟤도 저렇게 잘 키우는데 나도 파이팅하자.

 

▣ 바로잡고 싶은 곤충 관련 속담?

이 벌레만도 못한...”을 많이 쓰는데

곤충을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곤충을 이용한 산업(미래 식량 같은)이 있고 곤충에게서 유익한 물질이 많이 나오거든요. 그런 걸 보면 미래의 산업으로서 블루오션인데 왜 곤충을 하찮게 표현하는지 저는 그런 부분에 대해 굉장히 반대를 합니다.

 

▣ 대발생 곤충들을 화학 살충제로 처리한 이후에 얘네를 먹이로 하는 다른 생물들도 덩달아 피해가 발생할 수 있거든요. 이런 악순환으로 생태계 균형이 무너지면 그로 인해 더 큰 나비효과를 야기할 수도 있고 대발생하게 된원인이 있을 테니까 조금 힘들더라도 대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고 현명한 대책을 찾을 때까지 자연의 일원이라는 공존의 마음을 가져주시길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다.

 

 

  ◉ [유퀴즈 문제2]

다음 중 곤충의 수명이 짧 순서대로 나열하세요.

① 빈대

② 야구장 팅커벨

③ 러브버그

④ 모기

 

 [정답] 야구장 팅커벨 → ③ 러브버그 → ④ 모기 → ① 빈대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재미있는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