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8. 19:25ㆍ정보 공유/퀴즈 모음
안녕하세요. 행복한 달토끼입니다.
오늘은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나오는 퀴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 퀴즈 온 더 블럭을 보다보면 퀴즈가 나오는데 어려운 퀴즈들이 많아서 1화부터 현재까지 어떤 퀴즈들이 나왔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유 퀴즈 온 더 블럭 114화 ‘여름방학 특집! 광클 수업‘에 나오는 퀴즈를 모아보았습니다.
꿈과 낭만이 가득한 캠퍼스 라이프
항상 수강생이 넘쳐나는 수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교 교육학과 신종호 교수
자기님들이 궁금해 할
서울대생의 공부법
운 좋아야 들을 수 있는 수업
두 번이나 찾아 듣게 되는 수업
세종대학교 ‘성과 문화’ 배정원 교수
사랑 유지하는 법
사람 고르는 법
잘 헤어지는 법
성관계 하는 법
교수님 자체가 인기요소인 수업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 박새롬 교수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블록체인까지 섭렵한 수업 내용
생각할 수 없었던 부분까지 깨닫는 수업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이호 교수
법의학은 죽음의 진상을 밝히지만
‘죽음을 통해 삶을 이야기하는 거거든요.’
‘저는 죽음 너무 보니까 살아있는 게 비정상인거예요.’
여름방학맞이
자기님을 위해 준비한
눈높이 1:1 특강
제 114회
여름방학 특집! 광클 수업
1. 유 퀴즈 온 더 블럭 114화 문제와 정답 (210707) - 여름방학 특집! 광클 수업
수강 신청 국룰 1. 컴퓨터 사양 좋은 PC방으로 간다.
수강 신청 국룰 2. 서버 시간 사이트 접속해서 시각 확인
수강 신청 국룰 3. 빛의 속도로 광클!
오늘의 첫 번째 광클 수업
20년간 학생의 심리를 분석한
서울대 교육학과 신종호 교수
학생들의 심리를 파헤치는 <교육심리학> 신종호
(1) 이것은 돌을 갈고 닦아 표면을 반질바질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돌의 거친 표면을 매끈하게 만드는 것을 빗대어 오늘날에는 가진 것이 닳아 없어질 만큼 열중한다는 의미로 쓰이는데요.
흔히 학문이나 기술을 배워 익힐 때 ‘이것하다’라고 표현합니다.
<<정답>> 연마
※ 교육심리학은 교육을 심리적 관점에서 보는 학문.
※ 서울대생의 공부법 : 한마디로 죽어라 하는 공부법 (신종호)
※ 스탠퍼드 대학교 캐럴 교수 : “공부를 잘하려면 필요한 시간이 있고 그 시간에 맞는 투자를 해야 한다.“
※ 투자 없는 결과는 없다.
※ 공부법
10~15분 하번에 집중해서 보기 딱 좋은 시간!
한 시간을 버티겠다는 생각을 버려라!
10~15분 집중 후 잠시 멈췄다가 다시 공부 시작!
이렇게 하번 오히려 집중 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공부할 때 어떤 한 황경에 오래 있으면 약간 물리는 현상이 나타나요.
집중이 안 되면 환경을 바꿔라!
도서관에서 안 되면 카페에 가서 공부하는 것이다.
제일 좋은 장소는 내가 편한 장소이다.
부모님들은 독서실에 가야만 집중할 거라 생각하는데 카페나 집에서 노는 애들은 독서실 가도 논다.
공부할 때 음악을 들어도 된다. VS 들으면 안 된다.
연구에 따르면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를 하면 공부 효과가 떨어진다고 한다.
내가 의도하지 않아도 음악 드는데 에너지를 쓰게 되고 공부에 쓸 에너지가 분산된다.
그러나 왜 우리가 음악을 듣고 싶을까?를 이해해야 한다.
공부가 재미없기 때문에 재미없는 일을 하기에 내가 좋아하는 음악을 듣게 되는 것이다.
공부를 시작할 때 음악 서너 곡을 듣는 것은 괜찮다.
서너 곡이 끝나고 음악이 꺼지면 자연스레 공부에 집중하게 되고, 음악이 끝나ㅗ 계속 공부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되면 음악이 공부를 시작하게 하는 윤활유 역할을 해준다.
그러나 가능한 한 가사 없는 노래를 추천한다. (책 읽을 때 도움이 되는 곡들 위주로)
숲을 보는 공부를 하라!
참고서를 사서 끝까지 풀어보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대부분의 학생들이 앞에 열심히 하다가 끝내요!
앞 단원 부분 까맣고 뒤 단원 부분은 클린 앤 클리어
첨부터 완벽히 하려 하기 때문이다.
추천하는 방법은 처음부터 끝까지 그냥 쭉 읽어라!
계속 반복해서 전체를 보고 어느 정도 내용을 파악되면 다음부터 하나하나를 숙지하라!
영어 단어 암기도 외우지 말고 반복해서 읽어 나가라!
문제를 공부의 친구로 삼아라!
우리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냐면 내용을 내가 완벽하게 공부한 다음에 무제를 풀어야지 이렇게 생각해요. 하지만 문제 풀이는 모르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뭘 알고 있고 뭘 모르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문제 풀이.
이 공부법을 소크라테스 공부법이라고 한다.
※ <서울대 공부법>
① 공부는 엉덩이 싸움이다.
② 집중이 힘들면 10~15분씩만!
③ 음악 듣는 것 비추! (단, 윤활유 역할로 추반에 가능!)
④ 처음 볼 땐 모르는 건 넘어가고 전체를 보라.
※ 문해력
- 읽은 것을 다른 것과 연계시키는 능력
- 중요한 정보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능력
- 정보들을 연결해 자신의 아이디어로 만드는 능력
※ 요즘 세대들이 문해력이 떨어지는 이유
그 이유 중에 하나가 영상에 많이 노출되어 있어서라고 생각한다.
영상은 모든 정보와 의미를 구성해서 시청자에게 전달해 준다.
이에 익숙해지면서 자기 스스로 정보와 의미를 구성하는 힘이 떨어진다.
그래서 글을 읽거나 자료들을 조합하고 보고서를 쓰거나 발표를 할 때도 자기 생각을 구성하는 힘이 떨어지게 된다.
※ 문해력을 키우는 방법
책을 읽을 수밖에 없다.
각 분야에서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하는 사람들 이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하잖아요.
보통 일주일에 세권이상을 읽는다고 한다.
일주일에 세 권 독서한 그런 학생들의 문해력 사고력이 단단하더라.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공유 > 퀴즈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퀴즈 온 더 블럭 114회 여름방학 특집! 광클 수업 3탄 (0) | 2022.04.10 |
---|---|
유퀴즈 114회 2탄 3초 컷 광클 수업 성과 문화 배정원 교수 (210707) (0) | 2022.04.09 |
유퀴즈 113회 빅마마와 국민남편 TOP3 문제와 정답 (210630) (0) | 2022.04.06 |
우리말 겨루기 904회 문제와 정답 (220404) (0) | 2022.04.05 |
우리말 겨루기 903회 문제와 정답 (220328) (0) | 2022.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