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4. 20:03ㆍ정보 공유/퀴즈 모음
안녕하세요. 행복한 달토끼입니다.
오늘은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나오는 퀴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 퀴즈 온 더 블럭을 보다보면 퀴즈가 나오는데 어려운 퀴즈들이 많아서 1화부터 현재까지 어떤 퀴즈들이 나왔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유 퀴즈 온 더 블럭 158화 ‘이곳은 실화다’ 에 나오는 퀴즈를 모아보았습니다.
투자의 방향을 알려주는 그의 능력은 실화
독자들도 오싹하게 만든 전세 사기 만화는 실화
전쟁 지역에 가장 먼저 들어간 기자가 전하는 실화
20년을 그리워하다 결혼한 영화 같은 러브스토리는 실화
제158화
이것은 실화다
1. 유 퀴즈 온 더 블럭 158화 문제와 정답 (220622) - 이것은 실화다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전 세계 물가 쇼크... 인플레 공포 확산”
“미 기준금리 0.75%p 인상 ... 공격적 긴축 행보”
미 연준의 대대적인 금리 인상
“美 ‘물가 공포’ 금융시장 강타 ... 세계 증시 폭락”
뒤 이른 세계 증시의 폭락
빠르게 요동치는 세계 경제
“이런 때 일수록, 훨씬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해요.”
그 흐름을 읽어줄 어떤 경제 전문가를 찾아서
투자자들에게 ‘갓건영’이라는 닉네임으로 불리는
글로벌 경제 분석의 1인자
오건영 컨설턴트
(1) 이것은 원래 개별적으로 보면 위력이 크지 않은 태풍이 다른 자연현상과 동시에 발생해 파괴력이 커지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인데요. 두 가지 이상의 악재가 동시에 겹쳐 심각한 경제 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비유하는 경제 용어는 무엇일까요?
<<정답>> 퍼펙트 스톰
※ 인플레이션이란?
물가상승을 뜻하지만 뒤집어서 보면 화폐 가치 하락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손목시계 가격이 원래는 10,000원이였는데 100,000원으로 물가가 상승했다 하면 손목시계 하나를 구입하려면 원래는 만원 1장으로 살 수 있었는데 지금은 만원 10장으로 살 수 있기 때문에 화폐 가치가 하락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화폐 가치가 너무 빠르게 하락했을 때 가져오는 문제가 “인플레이션은 소리 없는 도둑“이라고 한다. 만약 주머니에 현찰로 100만원을 넣고 다니면 돈을 많이 갖고 다니는 거잖아요. 하지만 거대한 인플레이션이 닥치면 과자 한 봉지가 100만원이 될 수도 있는 겁니다.
그럼 소리 없는 도둑처럼 지갑 속 화폐의 가치를 앗아가는 인플레이션으로 결국에는 현금을 버는 근로자들의 생활환경이 굉장히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월급보다 물가가 더 빠르게 오르기 때문에 내가 쓸 수 있는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
※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국가 경제가 성장하면 소득이 늘어나고 수요가 늘어나므로 물가가 상승한다. (인플레이션)
하지만 물가가 너무 많이 오르면 성장이 박살나게 되고 그러면 경제 성장의 위축으로 소득이 줄어들고 수요도 줄어든다. 그렇게 되면 물가는 하락하게 된다.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이렇게 짝이 지어 움직이는 이상하게 엇박자가 나버리면 성장이 둔화하는데 물가가 상승하게 된다. 이것을 스태그 플레이션이라고 한다.
※ 좋은 주식을 찾는 법
① 앞으로 좋아질 기업을 찾아라. = 불확실성을 잘 버틸 수 있는 기업
(현금 보유량이 많은 기업, 현금의 유입이 꾸준한 기업)
② 부채가 적고, 현금을 많이 보유한 기업을 찾아라.
③ 현금 흐림이 양호한 기업을 찾아라.
※ 분산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ex) 금융지주 1주 + 은행 1주 → ‘분산 투자’로 보기 어렵다.
① 섹터 분산 : 업종이 서로 다른 종목들에 투자하는 것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주식 시장이 흔들리면 모든 업종이 다 떨어진다.
그래서 두 번째 방법으로
② 자산 분산 : 자산 유형이 서로 다른 종목들에 투자하는 것 (주식, 채권 등)
올해 같이 금리가 오르면서 주가가 빠지면 채권, 주식 모두 불안정하다.
그럴 때는 세 번째 방법으로
③ 대체자산 분산 : 원자재, 금 등 화폐의 대체재 역할을 하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
그 어떤 공포 영화보다 무서운 이야기
이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한다.
2015년 서울
“제가 어떤 집에 전세로 들어갔는데..”
평화로웠던 일상도 잠시,
한달 만에 압류장이 날아오고
집이 경매에 들어가고
평범한 일상을 무너트린 사건
“퇴근하고 오면 집 앞에 모르는 분이 서 계시는 경우도 몇 번 있었어요.”
모든 일의 원인인 집주인은 두 얼굴로 나를 속였다.
사라진 돈, 감옥 같은 집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충격 실화 이야기
100% 실화 전세 사기 웹툰으로
세입자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킨
카피라이터 & 웹툰 작가 루나 홍인혜
(2) 이것은 원래 복과 덕이 있는 곳이라는 뜻인데요.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땅의 길흉을 따지는 풍습이 있어 집을 구할 때 점을 치거나 고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여기서 유래해 복이 있는 곳을 소개해주는 사무실을 이것이라 불렀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복덕방
※ 등기부 등본이란?
부동산에 관한 권리 관계를 적어두는 등기부를 복사한 증명문서
※ 전세 사기 수법
① 깡통 전세 : 전세가가 매매가와 엇비슷하거나 뛰어 넘을 경우를 깡통전세라고 한다.
집주인은 자본금 하나 없이 전세금으로 집을 손에 넣은 것이기 때문에 이런 집은 문제가 터질 확률이 높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 직접 시장 조사를 하며 공시지가도 알아보고 주변의 다른 부동산도 좀 둘러보고 앱도 뒤져보고 해서 집주인이 말한 집값이 맞나 확인해봐야 한다.
② 법의 맹점을 노린 수법
전세로 들어가면 전입신고 확정일자라는 걸 받잖아요. 그러면 세입자의 권리가 보장되기 시작하는 건데 그게 신고한 다음날부터 보장을 받게 된다. 오늘 신고를 해도 보장은 내일부터라는 것. 그 하루를 그 틈을 타서 집을 탐보로 대출을 받아버리는 경우도 있다. 나는 등기부 등본이 깨끗해서 들어갔는데 융자가 생겨버렸고 나는 그렇게 후순위로 되어버린다는 것이다.
(세입자의 권리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은 다음 날, 즉 익일부터 효력을 가진다.)
※ 사기를 안 당하려면
등기부 등본을 확인하고 전입신고/확정일자 받기는 필수로 해야 한다.
그 외에 계약서에 특약을 넣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면 내가 들어간 날 혹은 다음날 일주일까지라고 하는 분들도 계신다고 하더라고요.
전세계약서 특약 : 임대인은 전세계약일 다음날까지 소유권 변경, 근저당 설정 등을 하지 않는다. 이를 위반하는 경우 본 계약을 무료로 하고 보증금을 즉시 반환한다.
100일 이상 계속되고 있는 전쟁
그곳의 아픔과 항전 의지를 보도해준
방탄조끼를 입은 대한민국의 첫 취재원
그가 전해주는 잔혹한 실화 속으로
한국 언론 최초로 우크라이나에 입국해 전쟁의 참상을 취재한
SBS 곽상은 기자
(3) 우크라이나에서는 해마다 여름이 되면 우리나라보다 6배 넓은 국도 곳곳에 이 꽃이 피어 장관을 이룬다고 합니다. 이 꽃의 뿌리에는 물과 토양에 있는 오염물을 흡수해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이 꽃을 심어 정화했다는데요. 태양의 꽃이라 불리며 우크라이나의 국화인 이 꽃은 무엇일까요?
<<정답>> 해바라기
※ NATO (북대서양 조약 기구)
제2차 세계 대전 후 동유럽에 주둔하고 있던 소련군과 군사적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체결한 북대서양 조약의 수행기구
2022년 3월 8일의 글
“저 결혼합니다.
20년 전 사랑했던 여인과 매듭 못 지은 사랑을 이어가려 합니다.”
다신 볼 수 없으리라 생각했지만
돌고 돌아, 다시 만났습니다.
믿기 힘드시겠지만
이 결혼, 실화입니다.
20년을 돌고 돌아 만난,
영화 같은 러브 스토리의 주인공
결혼 후, 인생 최고의 순간을 맞이한 가수 구준엽
(4) 이것은 ‘사랑을 위해 목숨을 버린 이야기를 적은 글’이란 뜻인데요. 1938년 박계주 소설가가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소설 제목으로 이것이 처음 사용됐다고 합니다. 오늘날에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고 있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순애보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정보 공유 > 퀴즈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퀴즈 159화 ○○잡는○○ 문제와 정답 (220629) (0) | 2022.07.07 |
---|---|
우리말 겨루기 917회 문제와 정답 (220704) (0) | 2022.07.05 |
유퀴즈 157화 똑바로 살기 문제와 정답 (220615) (1) | 2022.07.02 |
유퀴즈 156화 두 사람 문제와 정답 (220608) (0) | 2022.06.30 |
우리말 겨루기 916회 문제와 정답 (220627) (0) | 2022.06.29 |